728x90
클라우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세 가지 이름이 있습니다. 바로 Amazon Web Services(AWS), Microsoft Azure, Google Cloud Platform(GCP)입니다. 이들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CSP(Cloud Service Provider) 3대장으로, 각자의 강점과 특징을 갖고 있죠.
이 포스팅에서는 CSP 3대장을 기능, 성능, 요금, 보안, 지원 체계 등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. 클라우드 도입 또는 전환을 고민하는 기업, 개발자, IT담당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.
1. ☁️ CSP 3대장 개요
항목 | AWS | Azure | GCP |
출시연도 | 2006년 | 2010년 | 2008년 |
소속 기업 | Amazon | Microsoft | |
글로벌 점유율(2024) | 약 31% | 약 24% | 약 11% |
주요 고객 | Netflix, Samsung | LG, 현대차, Adobe | Spotify, Kakao |
2. ⚙️ 기능 및 서비스 범위
영역 | AWS | Azure | GCP |
컴퓨트 | EC2, Lambda 등 다양 | VM, App Service, Functions | GCE, Cloud Run, Cloud Functions |
스토리지 | S3, EBS 등 고성능 | Blob, Disk, Archive 등 다양 | GCS, Persistent Disk |
AI/ML | SageMaker | Azure ML | Vertex AI (구 AI Platform) |
빅데이터 | Redshift, EMR | Synapse, HDInsight | BigQuery, Dataflow |
하이브리드 클라우드 | Outposts | Azure Arc | Anthos |
요약: 기능의 폭과 커버리지는 AWS가 가장 넓지만, Azure는 윈도우 기반 기업에 유리하며, GCP는 빅데이터와 AI에서 강세를 보입니다.
3. 🚀 성능 및 안정성
- 네트워크 인프라:
- AWS: 전 세계에 가장 많은 리전과 가용 영역을 확보
- Azure: Microsoft의 글로벌 백본망 활용
- GCP: Google의 고속 글로벌 네트워크 활용 (유튜브와 동일한 망)
- 가용성 및 SLA:
- AWS: 서비스별 SLA 제공 (예: EC2는 99.99%)
- Azure: 99.95% 이상 SLA 제공
- GCP: 일부 서비스는 99.95%, BigQuery는 99.9%
요약: 글로벌 분산성과 가용 영역은 AWS 우위, 속도 및 트래픽 안정성은 GCP가 강점입니다.
4. 💰 요금 체계 비교
항목 | AWS | Azure | GCP |
무료 티어 | 12개월 + 일부 영구 | 12개월 + 일부 영구 | 12개월 + $300 크레딧 |
요금 계산기 | 있음 | 있음 | 있음 |
할인 옵션 | 예약 인스턴스, 스팟 | 예약 인스턴스, 하이브리드 혜택 | 장기 사용 할인 자동 적용 |
요약: GCP는 자동 할인과 예측 가능한 비용, Azure는 MS제품 연계 할인, AWS는 유연한 가격 전략이 특징입니다.
5. 🔐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
- 공통사항: 세 업체 모두 ISO/IEC 27001, SOC 1/2/3, GDPR, HIPAA 등 주요 인증을 보유
- 차별점:
- AWS: Well-Architected Framework, 보안 도구 다수
- Azure: Microsoft Defender, AD 기반 통합 보안
- GCP: BeyondCorp, Zero Trust 보안 접근
요약: 보안 기본기는 유사하나, 기존 인프라와 통합할 때는 Azure, 보안 유연성은 GCP, 전체 커버리지는 AWS가 앞섭니다.
6. 🛠️ 고객 지원 및 생태계
- AWS: 사용자 커뮤니티 방대, 문서 다양, 파트너사 많음
- Azure: 엔터프라이즈 고객 대응력 우수, MS 제품과 연동 쉬움
- GCP: 개발자 친화적 문서, 스타트업 중심 지원 강화
🔚 결론: 선택은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!
목적/상황 | 추천 CSP |
다양한 서비스와 유연한 확장성 | AWS |
MS제품과 통합이 중요할 때 | Azure |
빅데이터 분석, AI 중심 | GCP |
각 CSP는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에, 기업의 규모, 사용 목적, 기존 시스템 연동 여부 등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728x90
'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 전환 후 관리가 걱정이라면? MSP가 정답입니다 (0) | 2025.03.26 |
---|---|
Cloud Native 성공 사례 분석: 글로벌 기업들은 어떻게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활용할까? (1) | 2025.03.23 |
컨테이너란? Docker와 Kubernetes로 알아보는 현대 소프트웨어 배포 기술 (0) | 2025.03.18 |
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Kubernetes 활용법!! (0) | 2025.03.10 |
[cloud]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방법 (0) | 2025.03.08 |